시간이 충분하다면
공식 메뉴얼을 참고
- 참고
Git - Git 최초 설정
.5 시작하기 - Git 최초 설정 Git 최초 설정 Git을 설치하고 나면 Git의 사용 환경을 적절하게 설정해 주어야 한다. 한 번만 설정하면 된다. 설정한 내용은 Git을 업그레이드해도 유지된다. 언제든지 다시 바꿀 수 있는 명령어가 있다. 'git config'라는 도구로 설정 내용을 확인하고 변경할 수 있다. Git은 이 설정에 따라 동작한다. 이때 사용하는 설정 파일은 세 가지나 된다. /etc/gitconfig 파일: 시스템의 모든 사용자와
git-scm.com
** 혹시 이런저런 글들 보고 따라하다가, 다 꼬였을 경우!?
./.git/에 push 이전의 commit log들이 남아있다. 얘네 지우고 다시 하시면 됩니다.
1) 전체 폴더 다 하는 경우
** 커밋 메시지 안적으면 안되요.
$ git remote add origin <깃헙 주소 ex) https://githib.com/kimyoungjin06/home.git>
$ git init
$ git add .
$ git commit -m "메시지 적어주세요"
$ git push origin master
git remote add <로컬에서 부를 이름> <깃주소>
>> 꼭 origin으로 쓸 필요 없음
>> 혹 실수로 remote 잘못 했으면, git remote rm origin 처럼 지우고 다시 하면 됩니다.
git init
>> 은 현재 폴더부터를 하나의 git으로 초기화 하는 것
git add .
>> 은 현재폴더하위 모든 내용 포함하라는 것
git commit -m <commit message>
>> commit은 commit message 안쓰는 경우 잘 안됨...
git push <local repo name> <branch>
>> 로컬 레포, 브런치 적고 푸시 날리면 끝!
2) 일부분만 하는 경우
./.gitignore 활용하면 됩니다.
https://cocomo.tistory.com/454
Git무시목록(.gitignore ) 설정
Git 무시목록(.gitignore ) 설정 원격 저장소로 올릴 폴더를 설정했는데, 그 폴더 안에 올리고 싶지 않은 파일 또는 폴더가 있을 때는 .gitignore을 통해 제외시킬 수 있습니다. 한번 제외된 파일 또는 폴더는 com..
cocomo.tistory.com
3) 한 파일 또는 폴더만 하는 경우
1)에서
$git add . 대신
$git add ./temp/
$git add ./temp.txt
처럼 하나씩 추가해주면 됩니당.
끝~~~~
'Server > Unix,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buntu 18.04에서 윈10 설치 with VirtualBox (0) | 2019.10.08 |
---|---|
GitHub와 Slack 연동하기 (0) | 2019.08.26 |
GitHub와 git 하기 (1) 깃이 안되는 경우 (https 인증서 또는 ssh RSA key 오류) (0) | 2019.08.14 |
리눅스 외장하드 추가하기 (0) | 2018.07.20 |
구글 드라이브 파일 리눅스에서 받기 (2) | 2018.06.15 |